정처기 4

[정보처리기사] 트랜잭션(Transaction) 개념

트랜잭션(Transactio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무엇인가요?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일련의 작업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서, 전부 성공 또는 전부 실패하도록 하는 개념입니다. 트랜잭션에서 수행하는 작업은 원자성, 일관성, 독립성, 영속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트랜잭션 수행 시, 다른 트랜잭션에서 수행하는 작업이 간섭하지 않도록 원자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트랜잭션은 ACID 원칙을 전부 만족해야 합니다. 정답 4 트랜잭션은 ACID 원칙을 전부 만족해야 합니다.' 입니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일련의 작업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서, 전부 성공 또는 전부 실패하도록 하는 개념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트랜잭션에서는 다음과 같은 속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1...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 정규화

다음 중 정규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Anomaly) 현상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삽입 이상 (Insertion Anomaly) 갱신 이상 (Update Anomaly) 삭제 이상 (Deletion Anomaly) 검색 이상 (Search Anomaly) 정답 4번 해설 : 삽입, 갱신, 삭제 이상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로서, 정규화를 통해 해결하려고 합니다. 1번 삽입 이상: 불필요한 데이터까지 함께 입력해야 하는 경우 2번 갱신 이상: 일부만 변경되어 데이터의 불일치가 생기는 경우 3번 삭제 이상: 원하지 않는 정보까지 함께 삭제되는 경우 그러나 4번 검색이상은 정규화 과정과 관련 없으며, 인덱싱 등 다른 최적화 방법을 사용하여 해결합니다. 합격하는 그날까지!!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 정규화 과정 - 하루 한 문제

문제2) 데이터베이스의 정규화 과정에서 제1정규화(1NF)를 달성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기본키(primary key)가 각 튜플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부분적 함수 종속(partial functional dependency)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행적 함수 종속(transitive functional dependency)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각 속성이 원자값(atomic value)을 가져야 한다. 정답: 4번 해설: 제1정규화(1NF)는 테이블의 각 속성이 원자값을 가져야 함을 요구하는 정규화 단계입니다. 즉, 각 속성이 단일 값을 가져야 하며, 중복이나 다중값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테이블에서 중복 데이터나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합격 하는 그날까지..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 무결성 제약 조건

문제 1) 다음 중 무결성 제약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도메인 무결성은 각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제한하는 제약 조건이다. 2. 무결성 트리거는 DDL 명령을 실행하기 전후에 참조 무결성을 이행하기 위한 로직이다. 3. 고유 무결성은 기본 키를 포함한 속성 값이 유일하게 관리되는 것을 보장하는 제약 조건이다. 4. 엔터티 무결성은 기본 키를 구성하는 모든 속성 값이 NULL이 아니며, 중복되지 않아야 함을 보장하는 제약 조건이다. 정답: 2번 해설: 무결성 트리거는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명령어를 실행하기 전후에 데이터 무결성을 이행하기 위한 로직이다. 2번의 설명은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명령어와 ..